2024.06.15 (토)

  • 구름많음속초23.8℃
  • 흐림24.1℃
  • 흐림철원24.5℃
  • 흐림동두천23.2℃
  • 흐림파주23.0℃
  • 흐림대관령21.6℃
  • 흐림춘천24.7℃
  • 구름많음백령도22.4℃
  • 흐림북강릉23.9℃
  • 흐림강릉25.2℃
  • 구름많음동해25.9℃
  • 비서울24.9℃
  • 흐림인천22.5℃
  • 구름많음원주27.2℃
  • 구름많음울릉도26.0℃
  • 흐림수원26.3℃
  • 구름많음영월27.1℃
  • 구름조금충주26.3℃
  • 흐림서산25.6℃
  • 흐림울진23.1℃
  • 구름많음청주28.5℃
  • 구름많음대전27.6℃
  • 구름많음추풍령28.2℃
  • 구름많음안동30.5℃
  • 구름많음상주29.1℃
  • 구름조금포항28.9℃
  • 구름많음군산27.6℃
  • 구름많음대구31.9℃
  • 구름많음전주28.5℃
  • 구름조금울산28.8℃
  • 구름조금창원32.0℃
  • 구름많음광주30.5℃
  • 구름조금부산29.5℃
  • 구름조금통영29.3℃
  • 구름조금목포26.7℃
  • 구름조금여수27.7℃
  • 구름많음흑산도28.2℃
  • 구름조금완도29.4℃
  • 구름많음고창29.4℃
  • 구름많음순천28.3℃
  • 흐림홍성(예)26.7℃
  • 구름많음26.6℃
  • 맑음제주27.0℃
  • 구름많음고산24.1℃
  • 구름많음성산26.4℃
  • 구름많음서귀포26.7℃
  • 구름조금진주30.7℃
  • 흐림강화22.7℃
  • 흐림양평23.8℃
  • 구름많음이천26.4℃
  • 흐림인제25.4℃
  • 흐림홍천24.1℃
  • 흐림태백21.4℃
  • 구름많음정선군29.2℃
  • 구름조금제천26.3℃
  • 구름많음보은27.6℃
  • 흐림천안27.0℃
  • 흐림보령25.3℃
  • 흐림부여25.4℃
  • 구름많음금산27.1℃
  • 흐림27.9℃
  • 구름많음부안28.2℃
  • 구름많음임실27.6℃
  • 구름많음정읍30.8℃
  • 구름조금남원30.9℃
  • 구름많음장수27.7℃
  • 구름많음고창군30.5℃
  • 구름많음영광군29.8℃
  • 구름조금김해시31.8℃
  • 구름조금순창군31.5℃
  • 구름조금북창원31.7℃
  • 구름조금양산시32.5℃
  • 구름조금보성군28.7℃
  • 구름조금강진군29.4℃
  • 구름많음장흥29.8℃
  • 구름조금해남27.8℃
  • 구름많음고흥28.0℃
  • 구름조금의령군32.3℃
  • 구름조금함양군31.2℃
  • 구름조금광양시30.2℃
  • 구름조금진도군28.0℃
  • 흐림봉화26.4℃
  • 흐림영주21.2℃
  • 구름많음문경26.8℃
  • 구름많음청송군30.4℃
  • 구름조금영덕29.7℃
  • 구름많음의성31.6℃
  • 구름많음구미28.8℃
  • 구름조금영천30.8℃
  • 구름조금경주시33.4℃
  • 구름조금거창29.8℃
  • 구름조금합천31.1℃
  • 구름조금밀양31.3℃
  • 구름많음산청30.7℃
  • 구름조금거제29.8℃
  • 구름조금남해29.5℃
  • 맑음32.2℃
기상청 제공
[평택시] 道 문화재자료 평택 약사사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 본연(本然)의 모습을 찾다 -경기티비종합뉴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평택시] 道 문화재자료 평택 약사사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 본연(本然)의 모습을 찾다 -경기티비종합뉴스-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해 12월 말 약사사(藥師寺)가 소장하고 있는 경기도 문화재자료인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의 보존 처리를 완료했다.

[크기변환]사본 -9-2_도_문화재자료_평택_약사사_석조지장보살좌상_본연의_모습을_찾다.jpg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고 무릎이 높은 편이며 양팔을 붙여 신체를 하나의 덩어리처럼 표현하여, 조선 후기 불상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기도에서 흔하지 않은 경주 불석(拂石)*으로 제작한 것도 특징적이다.

* 불석(拂石): 경상북도 경주에서 산출되는 돌로 무른 특성으로 인해 조각이 쉬우며, 17세기경부터 불상의 재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번 보존 처리는 불상 외부 호분(胡粉)**의 변색을 새롭게 다시 채색하고 균열부와 파손부를 찾아 보존 처리하고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됐다.

** 호분(胡粉): 불상의 외부를 두르는 흰색 가루

 

보존 처리 과정에서 기존에 있던 호분을 걷어내던 중 보살상의 가슴부위를 한지(韓紙)로 여러 겹 두른 것이 확인되었고, 이를 제거하니 가슴부위를 기준으로 상하가 분리되었는데, 이는 하나였던 불석이 깨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지로 덮인 부분은 보살상의 천의(天衣) 옷주름이 기존의 섬세함을 살리지 못한 이유가 됐다.

 

또한, 보살상의 초록색 두건이 검은색 두건과 함께 두건 내부의 붉은색 안감, 검은색 머리카락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는 것이 새롭게 밝혀졌고, 안면 눈썹을 비롯한 눈동자가 기존과는 다르게 날렵한 눈썹과 눈매를 가지고 있었다.

 

이번 보존 처리의 큰 성과는 형태적 분석과 채색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복원한 모습이 기존의 상(像)과는 상이하고, 지장보살이 아님이 판명된 것이다.

 

이렇게 기존의 모습과 다른 이유는 보살상의 본존인 석조석가불좌상의 복장기록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는데, 1945년 본존불인 석가불을 조성하면서 지장보살을 개칠하였다고 전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보살상을 지장보살로 인식하여 개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보존 처리에서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정보들을 통해 지장보살이 아님을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본연의 모습의 보살상을 찾았고 17~18세기 경주 불석을 활용한 조각의 특수성을 새롭게 발견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시는 새롭게 발견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문화재자료인 보살상의 명칭 변경과 함께 유형문화재로 승격하기 위한 준비도 추진할 계획이며, 앞으로 보살상이 후대에 보전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